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K패스 혜택정리 | K패스 교통비 할인받기 GTX-A 적용가능할까?| K패스전환하기

짠테크

by 파우르 2024. 4. 1. 15:35

본문

반응형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의 불편했던 단점은 개선하고 혜택은 확대하였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도보ㆍ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환급(출도착 기록 필요)

-개선된 K패스: 이동거리 관계없이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 환급(출도착 기록 불필요)

 

K패스 정리


국토교통부 보도자

1. 방식: 알뜰교통카드의 이동거리 기준 적립 방식을 없애고,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정률( 20~53%) 계층별 적립 방식으로 개선

2. 최소 지급요건: 月 15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최대 60회까지)

3. 적용수단 범위: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민자철도(신분당선 등) 등 교통카드 기반 대중교통 수단 적용
 + 특정 지역이 아닌 , 전국 단위 호환
     예시) 서울지역 가입자가 서울 외 다른 지역에서 대중교통 이용 시에도 혜택 적용

4. 지급방식: 다음 달에 이용자에게 직접 환급( 현금, 마일리지, 카드공제.. )

5. 시행시기: 2024년 5월 1일~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다.
예시로,
매월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원을 지출하는 사람이라면, 일반인은 1.4만원 청년은 2.1만원 저소득층은 3.7만원을 절감하여 연간 기준으로는 17 만원 ~ 44 만원까지 아낄 수 있다.
추가로, 카드사의 추가 할인혜택(최대 10%)까지 고려하면 교통비 절감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GTX-A, 광역버스도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일반 시내버스나 지하철 외에도 GTX-A, 광역버스 등 고비용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을 제공하여 장거리 출 퇴근에 · 따른 이용자 부담도 대폭 완화할 계획이다.

(* 1회당 환급 상한금액에 대해서는 사업 시행 전까지 검토 후 별도 안내 예정이다.)

 

K패스로 회원전환하기

 

-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는 K-패스로의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면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에 발급받은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하여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신규 이용자는 5월부터 K패스 공식 홈페이지 (korea-pass.kr) 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11개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를 골라 패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국민, NH농협,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

<K패스 전환방법>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K-패스 참여,미참여지역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5월부터 176개의 지자체에서 13개 지자체를 추가하여 189개 지자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인구수가 10만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 지자체가 모두 사업에 참여한다.

* 현재 176개 :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광주, 부산, 대구, 울산 등 주요 지자체 모두 참여
+ 추가 13개: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음성, 진천, 보은, 영동, 증평, 괴산, 단양, 장성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