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도 국가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돈을 빌려주고 이자라도 받고 싶은데? 근데 나중에 이자와 원금을 되돌려 받을 수 있을까?
돈을 누군가에게 빌려 주고 싶어도 먼저 걱정되는 것은 나중에 이자와 원금을 되돌려 받을 수 있을까?
은행처럼 국가나 큰 회사 같이 안정적인 곳에 돈을 빌려주고 싶을 때!!
채권 투자가 바로 그 방법이다. 국가나 회사가 발행한 채권을 사면 그 곳에 돈을 빌려 준 것과 같다.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시 돈이 필요할 때 시장에서 만기 전이라도 팔아 투자금을 회수할 수도 있다.
채권을 매수해서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에는 확정된 이자와 원금을 회수 받게 되고, 채권을 중간에 매도할 경우에는 시장 금리에 따라 채권의 가격이 변동되기 때문에 시황에 따라 손익이 발생하게 된다.
채권이란?
채권은 정부나 공공기관, 특수법인 및 주식회사가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목적으로 차입금액과 일정 기간 동안의 이자를 정해진 일자에 상환 하기로 약속한 유가증권.
채권은 원금과 상환기관이 정해져있는 기한부 증권이며, 일정한 기일에 일정한 이자가 지급되는 확정이자부 증권.
채권 종류
* 보증채(원리금 지금을 제3자가 보증), 무보증채(보증없이 발행회사 신용으로만 발행)
신용등급
투자등급 | 등급정의 |
AAA | 원금, 이자 지급 확실성이 최고 수준 |
AA | 원금, 이자 지급 확실성이 매우 높지만, AAA등급에 비하여 다소 낮은 요소가 있음 |
A | 원금, 이자 지급 확실성이 높지만, 장래의 환경 변화에 따라 다소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
BBB | 원금, 이자 지급확실성이 있지만, 장래의 환경 변화에 따라 저하될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음 |
BB | 원금, 이자 지급 확실성에 당면 문제는 없지만 장래의 안정성 면에서는 투기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 |
B | 원금, 이자 지급 확실성이 부족하여 투기적이며, 장래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현 단계에서 단언할 수 없음 |
CC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매우 투기적임 |
C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상위 등급에 비해 불안요소가 더욱 많음 |
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극히 높고, 현 단계에서는 장래 회복될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함 |
D | 원금 또는 이자 지급 불능상태에 있음 |
👍🏻👍🏻👍🏻👍🏻👍🏻
👎🏻👎🏻👎🏻👎🏻👎🏻 유의사항
채권관련용어
01 만기
채권 발행 기관이 돈을 빌리는 기간. 채권을 중간에 다른 투자자에게 팔 수 있으므로 만기와 자신의 투자 기간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02 액면
만기일에 채권 발행자가 상환해야 하는 돈으로 채권 권 면에 표시된 금액. 우리나라 채권의 액면 기본단위는 10,000원입니다.
03 표면금리
발행회사에서 채권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이자. 액면에 대해 1년에 지급하는 이자에 해당하는 퍼센트를 나타내고 세금 계산 시 원천징수 대상 소득이 됩니다.
04 잔존기간
채권의 매수일로부터 원금 상환일까지의 기간.
05 과표
실제 보유한 기간 동안에 발생한 이자소득으로 세금 계산 시 기준입니다.
06 경과이자
발행일 또는 직전 이자지급일로부터 매매일까지 표면이율에 의해 발생한 이자.
07 매매수익률
채권의 현재 가격과 미래 현금 흐름을 일치시켜주는 할인율의 개념으로, 만기수익률(YTM)로 불리기도 하며 채권 도매 시장에서 호가로 사용합니다.
08 세전 은행환산금리(=연환산 세전수익률)
채권의 투자 수익률을 정기예금의 수익률과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익률로 세후 수익률을 세전으로 역산한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09 연평균 세전 수익률
보다 정확한 단리 개념의 세전수익률을 계산해 내기 위해 고안된 수익률.
10 장내채권
채권거래소를 통해서 거래되는 채권
11 장외채권
증권회사 창구를 통해서 거래되는 채권
12 세후 수익률
13 매수수익률
고객이 매수하는 채권 가격을 계산하기 위한 수익률로, 채권 매수 단가 계산에 필요한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14 후순위
발행기업의 파산 시 다른 채권 등 선순위 채권자에 대한 원리금을 전액 지급한 후에야 원리금 지급이 가능한 채권을 의미한다.
15 이자 지급주기
이자 지급주기는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등 다양 하며 국고채는 6개월마다, 회사채는 3개월마다 이자를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출처: NH투자증권 투자가이드
KB증권 채권.
어도비 구독 해지 싹싹 빌지 않고 환불하기 | 플랜 변경후 취소 후기.. (7) | 2023.06.03 |
---|---|
ELS DLS 란? 관련 용어 정리, 주의사항 (0) | 2023.05.30 |
KB국민카드 톡톡M 카드 혜택정리 (0) | 2023.05.20 |
신한카드 Hey Young 체크카드 혜택 정리 (0) | 2023.05.18 |
미국 배당주 | 나무 미국주식월배당 서비스 (0) | 2023.05.10 |